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AM 식물에 대한 고찰..

하월시아 기르기

by v2good 2013. 9. 23. 22:46

본문

하월시아를 시작하고 잘기르기 위한 여러가지 질문 중에 아래와 같은 것들이 내가 생각해 보았던 것들이다.

1) 하월시아의 야간 습도를 높이는 이유.

2) 물주기시에 왜 늦은 오후가 좋을까?

3) 휴면기는 필요한 것일까? 그럼 어떨때 휴면을 시켜주어야할까? 추울때? 더울때?

4) 잘 자라게 할려면 광합성이 중요할까? 햇빛의 양, 습도, CO2는 어떻게 공급하고 증산과 호흡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에너지 생성을 잘할려면? 에너지 소비를 적게할려면?

 

대표적인 1)번의 질문을 Base로 책을 찾아보고 인터넷을 뒤져서 그 답을 정리해 나가보려 한다.

1차로 오늘은 하월시아가 속해있을 것로 보이는 CAM 식물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를 Start 해본다.

간단히 정리해보면 CAM은 밤에 CO2를 흡수해서 C4의 형태로 저장하여 낮에 캘빈회로를 돌리는 구조이다.

즉 낮과밤의 시간으로 분리하여 밤에는 기공을 열어 CO2흡수, 낮에는 캘빈회로를 돌려 광합성을 하는 것이다. 

그러면 무덥고 건조한 낮을 피해 밤에 기공을 여는 CAM식물에게 상대적으로 서늘하고 습도가 높은 밤이 

기공을 열었을 때 더 좋은 이유는?

1) 이산화탄소가 더 많이 흡수되는 조건

2) 기공을 열었을 때 수분이 더 많이 흡수되는 조건

3) 기공을 열었을 때 증산이나 호흡들을 통해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차단하는 조건  
이 되는 것일까? 아니면 또 다른 조건이 있을까?

CAM은 또한 야간의 CO2흡수와 별개로 이른 오전에 말산의 소비가 끝나면 Co2를 흡수해서 바로 광합성을 하며

이때 Co2의 흡수가 최대가 되는 시점이라고 하는데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은가?

여러 생각들이 혼합되는데 결론은 조금씩 자료들을 찾아가면서 정리해 보아야 겠다.

[그림] C3,C4,CAM식물의 주.야간 증산과 광합성 양식비교 (손기철.2004)

- 아래 그림에서 하루중 시간대별로 CAM식물의 증산작용과 이산화탄소의 흡수및 방출에 대해

  C3,C4 식물군과 차이를 비교해 볼수 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