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친구 하월시아 (Haworthi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나의 친구 하월시아 (Haworthi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490) N
    • 살아가는 이야기 (16)
    • 책 이야기 (13)
    • 여행 이야기 (25)
    • 나의 하월시아 (7227)
    • 하월시아 기르기 (185)
    • 하월시아 실생 (428)
    • 기존하월시아연구 (522) N
    • 일반다육과 허브식물 (13)

검색 레이어

나의 친구 하월시아 (Haworthi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하월시아 기르기

  • 하월시아 플분 형태에 대해..

    2021.01.24 by v2good

  • 일본 하월시아 명인의 배합토..

    2021.01.22 by v2good

  • 하월시아 뿌리에 대해..

    2021.01.15 by v2good

  • 하월시아 수명에 대해..

    2021.01.12 by v2good

  • 하월시아 10년 재점검..

    2021.01.08 by v2good

  • 하월시아는 시비 중..

    2020.12.26 by v2good

  • 하월시아 흙 적옥토..

    2020.12.21 by v2good

  • 가네코씨 분갈이 다시 Review..

    2020.11.09 by v2good

하월시아 플분 형태에 대해..

하월시아를 기르면서 플라스틱 화분을 사용하는데 익숙해지고 나서 여러가지 화분 형태를 기르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해보고 개인적으로 요즘 사용하는 형태로 어느정도 방향을 정하고 쓰게된 것 같다. 플라스틱이 너무 무르면 화분을 조작할 때 휘어지면서 내부 흙이 쏠리거나 뭉쳐져서 좋지 않으니 좀 단단한 것이 좋은 것 같다. 배수와 환기 측면에서는 길이가 긴 화분은 바닥 외에 옆쪽에 Slit이 있는 것이 더 좋은 기르기가 되어 보인다. 통이 여유가 있는 화분은 좀 짧은 길이도 좋다는 결론이다. 화분 위쪽 입구가 살짝 넓은 형태가 더 좋아보이나, 과도하게 위쪽 입구가 넓어지는 화분은 보기에도 그렇고 실제 사용에도 화장토가 흩어져서 좋지 않게 느껴진다. 결론적으로 현재 나의 재배 환경에서는 하월시아 중소묘~대묘까..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24. 08:43

일본 하월시아 명인의 배합토..

하월시아를 기르면서 다양한 혼합토에 대해 의견을 들어왔고 논의도 해왔다. 그렇지만 항상 제자리를 돌고 돌은 느낌이다. 적옥토 베이스에, 녹소토, 동생사, 산야초, 훈탄, 질석, 펠렛, 비료(마감프, 유기질 비료 등), 코코피트, 마사, 상토, 난석, 등 다양한 종류를 혼합하거나 위치에 따라 배치하거나 하면서 흙을 만들어 왔다. 온실인가 베란다인가 하는 재배 환경에 따라 흙을 달리 쓰는 것도 고려해 왔다. 그래서 지금 이 시점의 결론은 무엇인가? 지금은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하월시아를 가장 잘 기른다는 가네코씨의 흙배합을 따르고 있고, 이게 온실 기르기 환경에서는 가장 좋은 느낌을 받고있다. 가네코씨는 흙은 적옥토만 90%이상 대부분을 쓰고, 질석 약간, 펠렛에 훈탄과 약간의 마캄프를 쓰는 것이 전부이다...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22. 18:04

하월시아 뿌리에 대해..

하월시아도 여느 식물과 마찬가지로 뿌리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다. 조직배양품도 어느 정도 뿌리를 보면 알수 있고, 뿌리의 형태에 따라서 배양 환경을 어느정도 예측해 볼수도 있다. 하월시아 종류 중에서 뿌리가 좀더 굵고 아래로 뻗는 만상 종류와 좀더 가늘고 잔털이 많은 옵튜사 종류도 있듯이 종류별로 약간 차이를 보이는 것 같다. 기르는 방식의 차이, 배양토의 차이로 너무 두꺼운 뿌리도 있고, 가는 뿌리, 엉킨 뿌리, 빼곡히 들어찬 뿌리도 나타나는데 이러한 부분은 좋은 성장을 위해서는 교정 대상이다. 분갈이 시 무른 뿌리를 제거해 주어야 할때도 있고, 너무 뿌리가 많아 뿌리를 정리해서 심어줄 때도 있다. 너무 두꺼운 뿌리는 무르기 쉽다. 1) 아래 사진은 과습 등으로 무른 뿌리는 제거해 주어야 한..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15. 21:07

하월시아 수명에 대해..

오늘은 문득 다시 하월시아의 수명에 대해 여러 생각들이 맴돌았다. 여러번 관심이 있어서 물어도 보고 찾아도 봤지만 아직까지 속시원한 대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예전에 선인장세계 판매처에서는 일본에서 수십년씩 기르고 있으니 그정도 수명이 될거라는 이야기를 들었었다. 예전에 자연에서 자라는 하월시아 코렉타 종류는 10년에서 15년 정도 모체로 살아있다가 자구를 내고 자신은 소멸되는 것을 외국 싸이트에서 읽은 적이 있다. 츠카하라 만상 대품을 많이 소유하고 실생에 활용하는 나로써는 요즘 10년차부터 15년차 이상으로 오랫동안 씨앗을 많이 받은 아이들이 왠지 생명력을 잃고 시들해 보여 하월시아란 식물의 본체의 삶의 주기에 대해 고민이 많다. 이게 나이가 늙어가는 자연스런 것인가, 아니면 관리를 못해서 위축된 상..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12. 21:12

하월시아 10년 재점검..

오랫만에 시간을 내서 8년간 하월시아 블로그에 올렸던 모든 7천여개의 사진들을 2번에 걸쳐 다시 Review 해보았다. 열정적으로 취미 생활에 임했던 5년이 지나고, 하월시아로 본격적인 재미를 느끼던 2~3년이 지나고 그 이후로 마지막 3년 정도는 조직배양과 함께 암흑기가 도래했다. 최근의 3년동안 잘 자라던 하월시아 아이들도 나의 애정의 정도에 따라서 건강도 함께한 것 같다. 하월시아에 황폐된 최근 기간동안 예전의 친구같던 하월시아 돌보기를 소홀히 하고, 최근의 새로운 아이 들이기에 바쁜 시간이 흘러갔다. 후회하고 다시 새롭게 시작해보려는 마음이 든다. 최근 2년간 더운 여름과 긴 장마, 이상하게 따뜻한 겨울 등을 거치면서 하월시아들이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 것 같다. 여러가지 회사일과 자라는 환경 변화..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8. 22:12

하월시아는 시비 중..

겨울을 지나고 봄이 오는 계절의 성장 시기에 맞추어 하월시아 아이들에게 비료를 넉넉히 주고있다. 개인적으로 마캄프는 사용하지 않고 그린킹(고체비료)과 GK365(액비)를 사용하고 있는데 같은 일본 회사 제품의 동물성 유기질 비료로 알고 있다. GK365 액비는 활력제(메네델,하이아토닉 등)와 함께 권장 비율보다 묽게 희석해서 해마다 봄이 올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수해주고 있다. 비료 설명서에 과비에도 부작용이 없다고 되어있어 마음 편히 시비하는 편이다. 추가로 하이포넥스 원액도 묽게 희석해서 함께 주고 있다. 화장토 위쪽으로 이끼가 끼는 단점을 보이는 것을 제외하고는 식물의 수세 회복에 나름 괜찮은 것 같다. 봄을 지나면서 여름에 근접하는 5월 이후는 비료를 끊는다. 코로나로 어려운 시기지만 하월시아 같은..

하월시아 기르기 2020. 12. 26. 18:15

하월시아 흙 적옥토..

개인적으로는 하월시아 화분 혼합토를 여러번 바꿔왔지만 적옥토는 계속 하나만을 고집해서 쓰고 있는 중이다. 근래에는 아래 사진의 이바라키 산의 최경질 적옥토만 사용 중이다. 미분이 적고, 오래 사용해도 일반 경질 적옥토보다 잘 부서지지 않아서 약간더 가격을 주더라도 이 적옥토만 애용해왔다. 250도 고온에서 구워서 만들며, 14리터 짜리 포장품을 사용한다. 채로 쳐서 미분을 제거해야하는 과정은 동일하지만 깔끔하게 정리되는 초경질 흙을 선호하고 있다. 혼합토의 비율도 근래에 베란다에서 온실로 이동하여 기르는 환경 변화에 따라 배합을 바꾸어서 적옥토 중립(바닥)/소립(화분흙)/세립(화장토)의 순서로 적옥토를 쓰며, 동생사와 산야초를 합쳐서 5% 내외로 사용하고, 상토 7%, 훈탄 10%, GM365 고형비료를..

하월시아 기르기 2020. 12. 21. 20:53

가네코씨 분갈이 다시 Review..

기존에 베란다 환경에서 분갈이 시의 흙조합에서 온실로 나가면서 분갈이에 대한 흙배합을 다르게 하고 있다. 온실 기준으로 아래 사진의 가네코씨 분갈이 흙에서 비료를 조금만 덜 사용하는 수준에서 접점을 찾고 있다. 베란다에서는 빛이 약하고 환기가 좋지 않아 상대적으로 비료를 덜 사용했는데 온실은 좀더 공격적인 비료 추가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판매처인 지양과 현천 하월시아의 경우 화분 째 배송이 되어 오기 때문에 흙 배합을 살펴볼수 있는데 뿌리의 상태와 물주기 기법을 고려해서 보면 추가로 분갈이가 필요해 보인다. 우선 아래에 가네코씨 분갈이를 다스님 싸이트의 내용을 다시 요약해 본다. 1) 맨 아래에는 적옥토 중립으로 처리.. 2) 그 위에 나무 재 같은 것을 올리고 펠렛을 추가.. 3) 흙은 훈탄을 많이..

하월시아 기르기 2020. 11. 9. 21:37

추가 정보

인기글

  1. -
    -
    하월시아 몇아이 들이다..

    2023.03.15 22:10

  2. -
    -
    새로 들인 하월시아 아이들..

    2023.03.14 22:28

  3. -
    -
    하월시아 금(錦) 실생 포인트..

    2023.03.16 22:13

  4. -
    -
    하월시아 픽타금(錦) 실생 중..

    2023.03.19 18:43

최신글

  1. -
    -
    PP 하월시아 그로엔왈디 실생품 몇아이..

    기존하월시아연구

  2. -
    -
    Prickly Pete 하월시아 스플렌덴스 몇아이..

    기존하월시아연구

  3. -
    -
    하월시아 픽타금(錦) 실생 중..

    하월시아 실생

  4. -
    -
    하월시아 금(錦) 실생 포인트..

    나의 하월시아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24
다음
TISTORY
나의 친구 하월시아 (Haworthi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