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친구 하월시아 (Haworthia)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나의 친구 하월시아 (Haworthia)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652) N
    • 살아가는 이야기 (22)
    • 책 이야기 (15)
    • 여행 이야기 (78)
    • 나의 하월시아 (8158) N
    • 하월시아 기르기 (197)
    • 하월시아 실생 (533)
    • 기존하월시아연구 (574)
    • 일반다육과 허브식물 (13)

검색 레이어

나의 친구 하월시아 (Haworthia)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하월시아 기르기

  • 하월시아 만상의 미래는 있을까?

    2021.03.06 by v2good

  • 하월시아 저면 관수 기르기..

    2021.03.03 by v2good

  • 입춘 시절의 하월시아 파리와 거미..

    2021.02.08 by v2good

  • 하월시아 분갈이 흙 - 상토

    2021.01.26 by v2good

  • 하월시아 플분 형태에 대해..

    2021.01.24 by v2good

  • 일본 하월시아 명인의 배합토..

    2021.01.22 by v2good

  • 하월시아 뿌리에 대해..

    2021.01.15 by v2good

  • 하월시아 수명에 대해..

    2021.01.12 by v2good

하월시아 만상의 미래는 있을까?

지난 하월시아 취미 10년여를 돌아보며 하월시아 중에서도 나의 가장 애증의 대상인 만상의 미래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하월시아 만상에 대해 돌아본 10년으로 앞으로의 10년을 예상해보면 어떤 흐름이 이어질까? 우선 지나온 10년 하월시아에 대해 언급되었던 생각이나 일반 지식들을 나열해보면, 1) 만상은 하월시아 로젯 대비 성장이 느리다. 로젯은 5년, 만상은 10년에 성체 수준에 이른다. 2) 한때 만상이나 옥선 아니면 모두 잡색이라 하여 경시하던 것들이 이제 로젯으로 바뀌어 숫적으로 대세로 판매되고 거래됨. 그 중에서 금(錦)에 관심이 많아 보인다. 3) 만상은 좋은 금(錦)이 드물다. 4) 무지의 창 무늬를 보는 만상 취미는 새로운 미래가 있을까? 5) 과거 취미가의 의견의 대부분은 로젯 하월시아를 돌..

하월시아 기르기 2021. 3. 6. 06:10

하월시아 저면 관수 기르기..

하월시아를 빠르게 성장 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하월시아 실생을 하게되면 유묘 때는 저면관수를 하고, 소묘를 넘어서면 저면관수를 하지않고 길러왔다. 그런데 성체도 저면관수를 하면 어떨까? 더 빠른 성장이 이루어질까? 단점은 무엇일까? 아래는 국내 하월시아 전문점 중의 하나로 저면관수 시스템 환경으로 키우고 있다. (업체 인터넷 싸이트 사진 참조) 이 업체의 하월시아 흙배합과 성장 상태, 뿌리 상태 등을 일정 기간 지켜봐온 바로는 성장은 좋을 것 같다. 대량으로 물주기(액비) 포함 기르기도 편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위에서 일반적인 관수 방법에 비해 뿌리의 무름이 많고, 일반 환경으로 변경 재배시에 일부 적응 기간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하월시아 덩치가 좋아지지만 스모선수 같이 부은 느낌으로 건강하고 ..

하월시아 기르기 2021. 3. 3. 21:38

입춘 시절의 하월시아 파리와 거미..

입춘이 지나니 냉온탕을 오가는 지저분한 겨울 날씨임에도 하월시아 온실에 온기가 든다. 이제 햇볕도 조금씩 길어지고 하월시아들이 성장에 기지개를 펴기 시작할 시기다. 겨울에 분갈이 시에 고형 유기 비료를 많이 주어서 그런가 뿌리 파리가 보이기 시작한다. 지난해 가을에 거의 사라져 보이지 않던 뿌리 파리들인데.. 생각해보니 작년 가을까지 거미가 많이 보였고, 그래서 농약을 치지않고 유기농법으로 길러오고 있는데 거미가 겨울을 지나면서 많이 보이지 않자 날씨가 따뜻한 틈을 타서 다시 뿌리 파리가 보이는 것이다. 기승을 부리면 농약을 칠수도 있겠지만 가능한 거미의 부활을 기대하며 좀더 손으로 잡아주면서 숫자를 관리해본다. 농약을 치면 뿌리파리외에도 거미도 사라지게 할것이다. 최근에 거미를 이용한 농법관련 인터넷 ..

하월시아 기르기 2021. 2. 8. 20:41

하월시아 분갈이 흙 - 상토

하월시아 분갈이시 배합토에 대부분은 적옥토를 사용하지만 일부 상토를 섞어쓰는데 아래의 상토를 주문해서 아주 일부만 혼합해서 사용하고 있다. 상토의 고급성은 상토에 포함되는 피트머스에 따라서 정해진다고 한다. 상토에 들어가는 재료 중에 피트머스가 가장 고가라고 하며, 피트머스의 양과 질에 따라서 화학성과 물리성 작용이 달라진다고 한다. 우리나라 상토의 원료는 모두 수입되는 것이라 캐나다와 동남아시아에서 최고급 품을 수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아래 상토가 이에 해당된다고 해서 하월시아 분갈이 시에 보습과 통기성을 고려해서 사용하고 있다. 1) 고인돌 들꽃 쇼핑몰에서 주문한 상토.. 팜스타 상토란 상표가 붙어있다.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26. 20:25

하월시아 플분 형태에 대해..

하월시아를 기르면서 플라스틱 화분을 사용하는데 익숙해지고 나서 여러가지 화분 형태를 기르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해보고 개인적으로 요즘 사용하는 형태로 어느정도 방향을 정하고 쓰게된 것 같다. 플라스틱이 너무 무르면 화분을 조작할 때 휘어지면서 내부 흙이 쏠리거나 뭉쳐져서 좋지 않으니 좀 단단한 것이 좋은 것 같다. 배수와 환기 측면에서는 길이가 긴 화분은 바닥 외에 옆쪽에 Slit이 있는 것이 더 좋은 기르기가 되어 보인다. 통이 여유가 있는 화분은 좀 짧은 길이도 좋다는 결론이다. 화분 위쪽 입구가 살짝 넓은 형태가 더 좋아보이나, 과도하게 위쪽 입구가 넓어지는 화분은 보기에도 그렇고 실제 사용에도 화장토가 흩어져서 좋지 않게 느껴진다. 결론적으로 현재 나의 재배 환경에서는 하월시아 중소묘~대묘까..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24. 08:43

일본 하월시아 명인의 배합토..

하월시아를 기르면서 다양한 혼합토에 대해 의견을 들어왔고 논의도 해왔다. 그렇지만 항상 제자리를 돌고 돌은 느낌이다. 적옥토 베이스에, 녹소토, 동생사, 산야초, 훈탄, 질석, 펠렛, 비료(마감프, 유기질 비료 등), 코코피트, 마사, 상토, 난석, 등 다양한 종류를 혼합하거나 위치에 따라 배치하거나 하면서 흙을 만들어 왔다. 온실인가 베란다인가 하는 재배 환경에 따라 흙을 달리 쓰는 것도 고려해 왔다. 그래서 지금 이 시점의 결론은 무엇인가? 지금은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하월시아를 가장 잘 기른다는 가네코씨의 흙배합을 따르고 있고, 이게 온실 기르기 환경에서는 가장 좋은 느낌을 받고있다. 가네코씨는 흙은 적옥토만 90%이상 대부분을 쓰고, 질석 약간, 펠렛에 훈탄과 약간의 마캄프를 쓰는 것이 전부이다...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22. 18:04

하월시아 뿌리에 대해..

하월시아도 여느 식물과 마찬가지로 뿌리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다. 조직배양품도 어느 정도 뿌리를 보면 알수 있고, 뿌리의 형태에 따라서 배양 환경을 어느정도 예측해 볼수도 있다. 하월시아 종류 중에서 뿌리가 좀더 굵고 아래로 뻗는 만상 종류와 좀더 가늘고 잔털이 많은 옵튜사 종류도 있듯이 종류별로 약간 차이를 보이는 것 같다. 기르는 방식의 차이, 배양토의 차이로 너무 두꺼운 뿌리도 있고, 가는 뿌리, 엉킨 뿌리, 빼곡히 들어찬 뿌리도 나타나는데 이러한 부분은 좋은 성장을 위해서는 교정 대상이다. 분갈이 시 무른 뿌리를 제거해 주어야 할때도 있고, 너무 뿌리가 많아 뿌리를 정리해서 심어줄 때도 있다. 너무 두꺼운 뿌리는 무르기 쉽다. 1) 아래 사진은 과습 등으로 무른 뿌리는 제거해 주어야 한..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15. 21:07

하월시아 수명에 대해..

오늘은 문득 다시 하월시아의 수명에 대해 여러 생각들이 맴돌았다. 여러번 관심이 있어서 물어도 보고 찾아도 봤지만 아직까지 속시원한 대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예전에 선인장세계 판매처에서는 일본에서 수십년씩 기르고 있으니 그정도 수명이 될거라는 이야기를 들었었다. 예전에 자연에서 자라는 하월시아 코렉타 종류는 10년에서 15년 정도 모체로 살아있다가 자구를 내고 자신은 소멸되는 것을 외국 싸이트에서 읽은 적이 있다. 츠카하라 만상 대품을 많이 소유하고 실생에 활용하는 나로써는 요즘 10년차부터 15년차 이상으로 오랫동안 씨앗을 많이 받은 아이들이 왠지 생명력을 잃고 시들해 보여 하월시아란 식물의 본체의 삶의 주기에 대해 고민이 많다. 이게 나이가 늙어가는 자연스런 것인가, 아니면 관리를 못해서 위축된 상..

하월시아 기르기 2021. 1. 12. 21:1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25
다음
TISTORY
나의 친구 하월시아 (Haworthia)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